국민연금과 기초연금 동시수급 시 감액 계산법

기초연금과 국민연금을 동시에 수급할 때 적용되는 감액 계산법을 정리합니다. 실제 수급액에 미칠 영향을 이해하시면 노후 소득 설계에 도움이 됩니다.



✅ 감액 계산법


① 국민연금 수급액이 2025년 기준으로 월 513,760원을 초과하면 기초연금 연계감액 대상이 됩니다.


② 기초연금 감액 방식은 “국민연금 수급액” 또는 “소득재분배급여금액(A급여액)”을 기준으로 정해지며,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감액율에 따라 지급액이 줄어듭니다.


③ 감액 예시: 기초연금 기준연금액의 약 1.5배 이상의 국민연금을 받는 경우 감액될 수 있습니다.


항목 기준 설명
국민연금 수급액 기준 월 513,760원 초과 (2025년 기준) 이 기준을 넘으면 기초연금 감액 대상됨.
소득재분배급여금액(A급여) 월 256,880원 초과 (2025년 기준) A급여액이 이 기준 초과 시 연계감액 적용됨.
감액율 기준연금액의 최대 약 50%까지 국민연금 수급액이 많을수록 기초연금 액수가 크게 줄어들 수 있음.


✅ 유의사항


감액 기준은 매년 물가상승률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최신 기준을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또는 보건복지부 공지에서 확인하세요.


감액 여부는 자동으로 적용되며, 별도 신청이 필요하지 않습니다. 하지만 본인의 국민연금 수급액이 정확히 산정되어야 감액 계산이 올바르게 적용됩니다.



✅ 확인 방법


본인의 국민연금 수급액 및 A급여액은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의 “예상연금 > 내 연금액 조회”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
기초연금 감액이 적용되었는지 여부는 보건복지부 또는 거주지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를 통해 지급통지를 확인하면 됩니다.



다음 이전